뜨거운 여름, 드디어 재밌는 한국영화가 개봉할까요? 2025년 7월 30일 개봉하는 영화 '좀비딸'은 가족애와 좀비 장르가 결합된 색다른 한국형 좀비 코미디입니다. 원작 웹툰의 감성과 실사화의 온기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따뜻한 감동이 곧 우리를 찾아옵니다.
영화 '좀비딸'은 동일한 이름의 인기 웹툰을 원작으로 한 실사 영화로, 어느 날 좀비가 되어 집으로 돌아온 딸과 그 가족의 이야기를 그립니다. 주인공 '현수'는 아내를 잃고 딸 '해라'와 단둘이 살아가는 평범한 가장입니다. 그러나 세상에 좀비 바이러스가 퍼지고, 해라는 학교에서 변이를 일으켜 좀비가 된 채 집에 돌아옵니다. 이 현실을 외면할 수 없는 아버지 현수는 딸을 지키기 위해 외부의 시선과 맞서 싸우기 시작합니다.
영화는 좀비물의 기존 공식을 벗어나, 생존 및 공포보다는 가족 간의 유대감에 더 중심에 둡니다. 해라는 더 이상 말을 할 수 없고, 사람을 공격할 수도 있는 존재지만, 현수는 딸을 포기하지 않습니다. 그의 일상은 무너졌지만, 마음만은 계속해서 딸을 향해 열려 있습니다. 좀비라는 소재를 통해 '무너진 일상 속에서도 우리가 끝까지 지켜야 할 것'이 무엇인지 조명하는 작품입니다. 이와 더불어 관객에게 유쾌한 웃음과 블랙 코미디를 선사할 것입니다.
네이버에서 연재된 원작 웹툰 '좀비딸'은 특유의 블랙코미디와 감성적인 여운으로 10~20대 독자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습니다. 영화화 발표 당시, 팬들은 과연 이 특유의 분위기를 어떻게 실사로 구현할지에 대해 많은 기대를 모았습니다.
다행히도 영화는 원작의 분위기를 적절히 재현하면서도 실사만의 디테일을 더했습니다. 특히 해라 역을 맡은 배우의 표정 연기와 특수 분장은 웹툰에서 느꼈던 이질감과 공포, 그리고 슬픔을 동시에 살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해라가 아버지를 바라보는 눈빛 하나하나에는 '아직 딸로 남고 싶은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이는 웹툰에서도 중요한 정서적 축이었던 감정입니다.
영화는 후반부로 갈수록 인간성과 윤리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원작보다 더 깊이 있는 감정선을 보여줍니다. 원작에서 암시했던 결말이 영화에서는 보다 확실한 메시지로 전달되며, 관객들에게 여운을 남길 것입니다.
'좀비딸'은 좀비 장르의 무게감을 덜어내고, 코미디와 감동 사이의 균형을 탁월하게 잡아냅니다. 현수가 해라를 숨기기 위해 냉장고를 개조하고, 도시락을 준비해 주는 장면 등은 블랙코미디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웃음 뒤에 남는 건 '그래도 아빠니까'라는 한 마디 감정이 남습니다.
또한 영화는 한국 사회의 시선과 편견을 교묘하게 녹여냅니다. 딸이 좀비가 되었다는 사실을 숨기려는 아버지의 행동은, 어느 가족이든 품고 있는 '남과 다르다는 두려움'을 상징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 영화는 좀비물이지만, 동시에 가족 드라마이며 사회 드라마이기도 합니다.
웹툰에서의 마지막 장면에서 현수는 해라의 눈을 바라보며 결정을 내립니다. 그 장면은 명확한 결말을 주지 않으면서도 관객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합니다. '진짜 사랑은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까지 감정을 지킬 수 있는가' 등의 질문들 말입니다. 그 질문이, 영화를 본 뒤에도 오랫동안 가슴에 남습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좀비물이 결코 아닐 것입니다. 시원한 웃음을 주고, 가족애로 마음을 울리며, 결말의 여운으로 관객을 멈추게 만듭니다. 원작 팬이라면 반가울 것이고,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는 새로운 감동일 것입니다. 올여름, 조금은 색다른 좀비 이야기를 찾는다면 이 영화를 추천드립니다.
<남색대문> 재개봉, 여전히 푸른 청춘의 기억 (1) | 2025.07.25 |
---|---|
<귀멸의 칼날: 도공 마을 이어진 인연>, 그 감정이 다시 타오른다 (0) | 2025.07.25 |
2025 마블 리부트,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1) | 2025.07.23 |
<전지적 독자 시점> IMAX 살아남기 위해 읽어야 한다! (1) | 2025.07.21 |
<노이즈>, 조용한 공포와 감정의 충돌 (0) | 2025.07.19 |